주택연금 수령액 쉬운 계산법 TIP !

생활정보|2017. 8. 18. 01:24

주택연금 수령액 쉬운 계산법 TIP !


국민연금만으로는 부족한 노후 연금,


은행이나 보험사에서 제공하는 개인 연금 보험 말고도 주택금융공사에서 제공하는 주택연금도 있다.


매년마다 주택연금 가입자가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다고 들었다.


그만큼 주택연금은 안정된 노후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든든한 연금성 상품이렷다.


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서 주택연금 수령액 모의계산 해볼 수 있다.


주택연금 수령액 쉬운 계산법 TIP !


알아보자.



주택연금 수령액 모의계산


일단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로 접속한다.


이런 종류의 공기업 홈페이지는 크롬보다는 익스플로러로 접속하는 것이 편하다.


메인화면에서 [주택연금 > 예상연금조회]를 클릭한다.


(출처 :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)



주택연금은 만 60세 이상의 국민만 신청할 수 있기 때문에 아래의 주택소유자 생년월일은 만 60세 이상으로 설정해야 모의 수령액을 조회할 수 있다.


시세의 경우에는 현재 시세를 고려해서 적용하므로 주택연금 대상 주택의 시세를 검색해서 넣어보자.

일단 편의상 2억으로 시세를 넣어보겠다.


(출처 :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)



지급방식은 종신방식, 확정기간방식, 대출상환방식, 우대방식이 있다.

이 중 확정기간방식은 부부 중 연소자가 만 55 ~ 74세인 경우에만 선택가능하다.


(출처 :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)



쉽게 예를 들어 2억의 주택을 종신방식으로 설정했을 경우 매월 약 180만원을 수령할 수 있다.


(출처 :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)



용어를 좀 더 알아보자.


월지급금 지급방식은 종신방식, 확정기간방식, 대출상환방식, 우대방식이 있다.

(출처 :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)



주택구분은 일반주택, 즉 단독주택, 다세대, 다가구주택 및 아파트가 포함된다.

노인복지주택도 있다.


(출처 :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)



월지급금 중 정액형은 집값이 하락해도 평생동안 월지급금의 변화가 없는 방식이다.

전후후박형은 월지급금을 가입초기 10년 간 많이 받다가 11년부터 초반 월지급금의 70%만 받는 방식이다.


(출처 :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)



이상 인기있는 노령연금수단 중 하나인 주택연금 수령액 모의계산 방법을 알아보았다.



댓글()